청성곡 같은 전통 국악곡은 정형화된 악보보다는 구전에 의해 도제식으로 전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, 연주자 마다 박자가 다를 수 있습니다. 아래는 청성곡에 대해서 세 명의 연주자의 연주를 비교 연구한 석사 논문 초록입니다. 원본은 국회도서관에서 검색해 보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.
연주자의 재량에 의한 변형이 서양음악과 다른 한국음악의 특징이자 멋이기도 하지만, 초보 연주자가 그렇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. 일단은, 기보(사실 이 기보조차도 워낙 종류가 많지만)대로 충실히 연주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우선입니다. 그런 다음에 나름대로의 해석에 의해 시음새나 박자를 변형하는 것은 "멋"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. 어떤 악보가 되었든, 님이 가지고 계시는 악보를 충실히 연주할 수 있도록 하시기 바랍니다.
출처 : 우리소리여울
글쓴이 : 고래 원글보기
메모 :
'단소,소금 완성사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평균율 단소 디자인 (0) | 2009.02.05 |
---|---|
[스크랩] 최근에 만든 뿌리없는 단소 사진입니다. (0) | 2009.02.01 |
[스크랩] 뿌리 단소에 대한 단상 (0) | 2009.01.21 |
[스크랩] Re:뿌리없는단소와 뿌리단소중 어느것이 더 좋은단소일까요? (0) | 2009.01.20 |
[스크랩] 잘빠진 단소하나 사진 올립니다. (0) | 2008.11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