구례 줄풍류 단소 안공법(줄풍류라는 표현이 중요)입니다. 악보를 보니까 중려음은 A음으로, 임종음은 B음으로, 황종음은 E음으로, 태주음은 F#(Gb)으로 표시했네요. 회색으로 음영 친 부분은 제가 수정했습니다. 제가 갖고 있는 2개의 산조 단소로 역취황을 불 때 위의 그림에 나와 있는 것처럼 0공을 막고 불면 황음보다 반음 정도 높은 F음이 나오네요. 0234공을 막고 불면 E음이 나오네요.
이 향제 단소를 사용해서 추산 전용선류 단소 산조를 연주합니다. 산조 단소로 C본청(임본청) 계면조 단소 산조를 연주한다고 할 때 임종음의 운지법으로 B음이 아닌 C음을 내야 하고, 역취 태주음의 운지법으로 F#음이 아닌 G음을 내야 합니다. 그러므로 중려음의 운지에서 Bb음까지 낼 수 있고, 역취 태주음의 운지에서 G음까지 낼 수 있으면 단소 산조의 연주가 가능합니다. 독학으로 단소 산조를 연습하고 있는 사람의 생각이라서 바른 설명인지 모르겠네요. 엄밀하게 말하면 독학은 아니죠. 인터넷과 책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. 그러나 단소 산조에 관한 한 자료가 많이 부족하네요.
[질문1] 단소 산조를 연주할 때 역취 태주음의 운지법이 위와 같은지 다른 운지법을 사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.
[질문2] 언제쯤 이용구가 채보한 전추산류 산조 단소보를 구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. 이용구가 연주하는 전추산류 단소 산조는 환상적입니다. 채보하신 분의 수고를 생각하면 잠깐 악보를 빌려 달라는 소리도 못하겠고, 빨리 책으로 출판되었으면 합니다. 가장 먼저 주문할 사람 중의 한 명이 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
'簫 이용구 단소 연주집'에 나오는 단소 산조의 마지막 중모리 부분을 이전에 튜너기의 도움을 받아 찍어 놓은 동영상을 보면서 24정밖에 안되는 연주인데도 오늘 아침에 한 여섯 시간 정도 시간을 들여 채보해 보았습니다. 정확하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. 임(C)본청 계면조(?)인데 중려음보다 반음 낮은 음(A음)이 나오고 굵은 요성이 들어가네요. 태주음(G음)의 다양한 표현 중의 하나가 아닌가 생각합니다. 역취 태에 동그라미 친 부분은 모든 지공을 연 상태에서 G#음이 나오게 연주하면 됩니다.
'단소,소금 완성사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정말 괜찮아 보이는 단소,소금 하나 올립니다 . (0) | 2009.03.02 |
---|---|
[스크랩] [단소 산조 관련 질문04] 튜너기에 대하여 (0) | 2009.02.24 |
[스크랩] 개량단소..??? (0) | 2009.02.06 |
[스크랩] 제가 갖고 있는 계면 단소, 개량 단소, 산조 단소 사진 (0) | 2009.02.06 |
[스크랩] 평균율 단소 디자인 (0) | 2009.02.05 |